• 위염엔무우즙...민간료법모음

    방광염: 옥수수 수염 한줌에 물 1.5홉을 붓고 1홉이 되게 달여서 복용한다. 아주 순하므로 하루 3번 장복한다.

    피부과계통

    두드러기: 습관성 두드러기는 결명자를 달여 하루 2~3번 계속하여 장복하면 위장도 튼튼해지고 약효도 좋다.

    여드름: 도화(桃花)를 짓이겨서 즙을 내여 바르면 특효가 있다.

    무좀: 부추즙에 백반가루를 넣고 들깨잎에 펴서 바르면 신통한 약효가 있다.

    도장부스럼: 마늘즙이나 참기름을 하루 2회씩 발라도 좋은 효과가 있다.

    사마귀: 무화과 잎이나 열매를 꺽으면 흰즙이 나오는데 이를 하루 1번씩 바르면 일주일만에 빠진다.

    티눈: 은행즙이나 마늘즙을 내여 바르면 티눈살을 쉽게 잘라낼수 있다.

    흑점: 속수자(續修子)의 잎과 줄기를 꺽으면 흰즙이 나오는데 이 물을 세차례 가량 점에 바르면 자연치유된다.

    땀띠: 가지를 팔팔 끓인 물로 온몸을 목욕하면 직효가 있다.

    옴: 우엉부리를 물에 달여서 환부를 계속 씻으면 효과가 있다.

    동상: 생강즙을 내여 환부에 하루 4~5회씩 계속해서 2~3일간만 바르면 놀라운 효과가 있다.

    기미: 율무즙, 창포즙, 귤껍질즙을 내여 자주, 계속 바르면 좋은 효과.

    죽은깨: 오이를 잘라서 그 토막으로 아침, 저녁으로 마사지를 오래 계속하면 피부도 좋아지고 부드러워진다.

    멍든 자국: 얼굴에 멍든 자국이 있을 때 환부에 소고기(날것)를 얇고 넓적하게 포를 떠서 붙인다. 하루에 한번씩 3~4일동안 계속 갈아붙이면 치유된다.

    탈모증: 미역을 긇인 물로 수시로 머리를 감으면 모근을 튼튼하게 하고 탈모방지가 된다. 참외잎을 짓이겨서 환부에 바르면 탈모를 방지할수 있다.

    발모: 검은 참깨를 볶아서 으깨고 알콜을 넣어 질퍽하게 하여 바르면 머리털이 나는 좋은 효과가 있다. 묵은 생강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낸후 10배정도의 알콜을 섞어서 잘 흔들어 둔다. 이를 탈지면에 묻혀서 매일 2~3번씩 살갗을 문질러주면 효과가 아주 좋다.

    완선(顽癣, 신경성피부염): 담배가루를 물에 담가두면 노랑물이 나오는데 이를 하루 3번, 2~3일간만 바르면 완전 치료됨.

    비듬: 비누로 머리를 감지 말아야 하며 보리쌀뜨물로 자주 머리를 감으면 비듬이 없어진다.

    생손앓이: 날닭알의 한쪽을 깨여 손가락이 들어갈만한 구멍을 내고 앓는 손을 구멍에 넣어서 자신의 눈높이보다 약간 높게 고정시켜서 40분~1시간쯤 견뎌낸다. 처음 10~20분동안은 고통이 심하나 1시간쯤 지나면 고통이 가벼워진다. 이렇게 2~3회만 되풀이하면 완쾌될수 있다.

    화상: 오이를 강판에 갈아 생즙을 내여 환부에 붙인다. 즙을 많이 내여 응급에 쓰면 좋다. 오이즙은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으므로 만들어놓고 쓸수 있다.

    주부습진: 나팔꽃 잎과 씨를 같이 섞어서 생즙을 내여 하루 2차례씩, 3~4일간 계속하여 바르면 치료가 된다.

    안과계통

    다래끼: 복숭아씨를 헝겊에 싸서 으깨여 즙을 내여 환부에 발라주면 효과가 있다.

    결막염: 약간 짠 소금물이나 엄마의 젖으로 하루에 4~5회 자주 씻어주면 효과.

    백내장: 잉어를 푹 고와서 먹고 그 물을 자주 환부에 바른다.

    야맹증: 뱀장어를 구어서 먹거나 달여서 먹는데 장복하면 효과가 있다.

    이비인후과계통

    내이염: 생닭알의 기름을 내여 귀속에 하루 두차례씩 넣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.

    중이염: 무우는 염증치료에 좋은 약이다. 만성중이염으로 고름이 나올 때에는 무우즙을 내여 면봉이나 약솜을 감은 성냥개비에 발라 귀속에 넣는데 이 탈지면으로 귀를 막으면 효과가 있다.

    귀동상: 감물이나 옥도정기를 장기 바르고 붕산수로 찜질을 하는 한편 방풍에 유의하여 솜을 환부에 대여 찬바람이 스치지 않도록 한다.

    비염: 그늘에 말린 도라지껍질 11g을 5홉의 물에 넣고 3홉이 되도록 달여 하루에 3차례씩 계속 복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.

    코피: 연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생즙을 내여 솜에 묻혀 코구멍을 막아주면 효과가 좋으며 다른 출혈에도 좋다.

    축농증: 무우생즙을 내어 탈지면에 묻혀서 코구멍에 넣어두면 누런 코물이 나오는데 이 코물이 입으로 들어가기 쉬우므로 자주 뱉으며 하루에 3번씩 4~5일간만 계속하면 완치할수 있다.

    편도선염: 다시마를 적당한 길이로 알맞게 잘라 콩 한줌을 넣고 푹 삶는다. 간장을 쳐서 알맞게 간을 한 다음 식사때마다 반찬으로 먹거나 차로 만들어 계속 복용하면 아무리 심한 선염도 수술없이 그대로 가라앉아서 낫게 된다.

    헐은코안: 연뿌리의 생즙을 내여 밤에 자기 전에 두 방울을 코속에 넣으면 직효.

    목의 가시: 밥이나 삶은 고구마를 씹지 않고 넘긴다.

    쉰 목소리: 닭알 1개에 식초를 차 숟가락 하나쯤 넣고 아침 일찍 공복에 2~3회 정도만 먹으면 곧 목이 트인다.

    부인과계통

    자궁암: 옥수수로 술을 담가서 한번에 한컵씩, 하루 세차 공복에 복용하되 자주 복용하면 좋다.

    자궁경부: 파 접시꽃 또는 마련초(馬蓮草)를 달여서 하루 3번씩 5일간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.

    대하증: 메밀로 묵이나 국수를 만들어 자주 먹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. 닭알 노른자위만을 하루 2개씩 10여일 계속해서 먹어도 효과가 좋다.

    습관적인 류산: 보통류산은 옥수수의 젖눈이나 오이순 또는 호박넝쿨을 달여서 자주 마시면 좋은 효과가 있으며 락태는 김을 자주 먹고 백도라지, 수수대속을 달여서 한번에 한컵씩 하루 2번 복용하는데 5~6일간 계속해서 먹어야 한다.

    유선염: 토란을 강판에 가늘게 갈아 밀가루를 섞어 두꺼운 헝겊이나 비닐에 펴서 환부에 붙이고 마르면 다시 갈아붙이도록 한다. 급성염증에 강력한 소염작용이 있으므로 맹장염에 응용해도 특효가 있다.

    월경불순: 메밀로 묵이나 국수를 만들어 먹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.

    불임증: 겨우살이(대추나무 같은데 겨울에 새파랗게 돋아나는 싹 같은것)를 달여서 1회에 한컵, 하루 한차례씩 오래 복용하면 특효.

    산후복통: 잉어를 푹 고아서 먹으면 복통도 개고 젖도 잘 난다.

    젖부족: 잉어를 푹 고아서 3~4회 정도 계속해서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.

    하혈: 칡뿌리가루 10g 정도를 팔팔 끓인 물에 넣고 잘 저어서 섞은 다음 복용하는데 4~5일간 계속해서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.

    유방암: 미꾸라지를 잡아서 산채로 짓이겨 검은 설탕을 섞어 환부에 붙인다. 하루에 한번씩 새것으로 바꾸어서 갈아붙이면 특효를 볼수 있다.

    소아과계통

    소아습진: 감, 도토리, 무우의 생즙을 내여 환부에 하루 2~3회씩, 2~3일간만 계속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.

    야뇨증: 감초, 비자, 연잎, 옥수수 수염을 물에 넣고 달여서 한번에 반컵, 아침저녁으로 두차례씩 장기간 복용하면 특효.

    땀띠: 가지 2~3개를 깨끗이 씻어서 잘게 썰어 2홉의 물에 넣고 1홉 가량이 되게 끓인후 아이의 전신을 목욕시키면 속효가 있는데 하루 한차례씩 4~5회만 계속하면 완치가 된다.

    홍역: 발진이 순조롭게 돋아나지 않을 때에는 무우즙 한숟가락, 생강즙 한방울, 소금과 설탕을 약간 섞은후 이것을 5배 정도의 물에 타서 먹이면 큰 효과가 있는데 하루 세차례씩 먹이면 발진도 잘 되고 위기를 모면할수 있다.

    백일해: 호박씨를 까맣게 될 정도로 태워 그것을 설탕 한숟가락과 물 3홉 정도를 넣고 2홉정도가 되게 약간 진하게 달여서 물을 찾을 때마다 물대신 차 마시듯 수시로 먹이면 효과가 아주 좋다.

    소아마비: 오가피를 진하게 달여 한번에 한컵가량 복용하는데 하루 3차례씩 병이 나을 때 까지 오래동안 복용해야 효과를 보게 된다.

    경련: 웅담을 물에 개여 하루 3차례씩 먹이되 4~5일간 계속해서 복용토록 한다. 웅담은 이러한 질환을 치료하는데 최상의 상약으로 널리 인정받았다.

    일반외과계통

    타박상: 토란의 껍질을 벗기고 강판에 갈아서 밀가루를 섞어 잘 반죽하여 환부에 두껍게 바른다음 가아제로 싸고 붕대를 감아준다. 열이 빠지고 약이 굳어지면 새것으로 바꾸어 붙여준다.

    이 약은 염파나 좌상에도 특효가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의 부스럼에 발라주어도 2~3일 후면 벌집같이 구멍이 생기면서 고름이 빠지고 상처도 없이 깨끗이 낫는다. 아주 놀라운효과가 있는 좋은 약이다.

    찰과상: 칼 같은것으로 살갗을 베였을 때는 새우젓이나 성냥껍질, 약쑥 혹은 오징어의 뼈가루를 환부에 2~4회 정도 발라주면 효과가 아주 좋다.

    찔렸을 때: 못에 찔렸을 때에는 메밀가루나 석유, 된장, 소금을 환부에 2~3회 정도 발라준다.개에 물렸을 때: 물린 우쪽을 꼭 매여서 독기가 퍼지지 못하도록 한뒤에 상처를 꼭 눌러서 짠다. 개의 침과 상처의 피를 많이 짜내고 식초를 바르면 독기를 제거하게 된다.

    쥐에 물렸을 때: 고양이의 털을 태워서 가루를 만들어서 하루 3차례 2일 가량만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.

    뱀에 물렸을 때: 과메기(청어를 간하지 않고 말린것)를 푹 고은 물을 계속 먹으면서 환부에 바른다.

    치질: 무화과 열매의 생즙을 내여 하루에 한차례씩, 5일간 계속 환부에 발라주면 그 효과가 크다.;

    신경계통

    불면증: 마늘의 생즙을 내여 머리맡에 놓고 냄새를 맡으면서 잠을 자면 잠이 잘 온다.

    간질병: 흰 봉선화의 줄기를 잘게 썰어 물을 붓고 달여서 하루에 두차례씩 장복하면 탁월한 효과를 본다.

    어깨결림: 토란과 밀가루를 같은 분량으로 고루 잘 썩어 반죽하여 생강즙과 설탕을 약간 썩어 환부에 하루 한차례씩 4~5일간만 치료하면 탁월한 효과를 본다.

    야뇨증: 닭 벼슬을 불에 태워 가루를 만들어 열탕한 물로 하루 세차례씩 일주일만 장복하면 치료된다.

    관절염: 황토흙을 곱게 채에 쳐서 가루를 만들어 식초에 이겨서 환부에 하루 한차례씩 5~6일간만 붙이면 직효.

    뇌일혈: 뽕나무뿌리를 캐여 그것을 그늘에 말려두었다가 잘게 썰어 3홉의 물을 붙고 2홉이 되도록 달여 하루 3번 공복에 복용하되 장복하면 치료가 가능하다.

    신경통: 웅담이나 소쓸개를 반컵의 소주속에 넣고 2~3번 복용하면 신기한 효과.

    요통: 소주에 마늘을 이겨서 넣은것이나 솔잎과 초와 겨자를 갠것을 환부에 자주 찜질을 하면 통증이 풀리면서 낫는다.

    두통: 무우생즙을 내여 코속에 3방울쯤 넣으면 특효가 있다.

    심장병: 양파와 마늘에 초를 약간 쳐서 생것으로 자주 복용하면 심장병치료에 탁월한 효과.

    고혈압: 박속을 푹 삶아서 한번에 한컵씩 2~3회를 복용하되 10여일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.

    현기증: 무우생즙을 내여 코속에 2~3방울 넣는데 하루 두차례 4~5일간만 계속하면 즉효가 있다.

    심장병: 팥을 적당히 삶아낸 물을 1홉정도씩 하루 3번 계속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.

    소화기계통

    위염: 무우로 진한 즙을 내여 아침저녁 식사 30분후에 한컵씩 계속하여 복용하면 신통한 효과 있다.

    위궤양: 귤껍질을 갈아서 고운 가루를 내여 한번에 적은 숟가락으로 하나씩 하루에 3번 공복에 랭수로 오래동안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.

    위암: 가지꼭지를 달여서 하루에 3번 공복에 장복하여 신통한 효과가 있다,

    위경련: 마늘생즙을 내여 0.2홉가량 먹으면 신통하게 낫는다.

    변비: 생닭알과 조청(묽은 엿)을 잘 저어서 섞은다음 하루 2번만 먹으면 특효가 있다.

    황달: 무우로 즙을 내여 한번에 한컵씩 하루 3차 식후에 오래동안 복용하면 치유할수 있다.

    간염: 자라를 푹 고은후 바드득 짜서 그 국물을 한번에 한컵씩 하루에 3번, 2~3일간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.

    요충(蛲虫): 쑥을 그늘에 말려 물을 붓고 달여서 수시로 먹으면 특효가 있다.

    딸국질: 곶감 1개를 달여서 그 물을 한컵정도 먹어도 곧 그친다.

    맹장염: 무우 생즙을 낸것과 생강즙 낸것을 섞어서 꼭 짠 다음 이 찌꺼지를 맹장의 환부에 하루 2~3번 갈아붙이면 좋다.

    여름 탈 때: 생강과 대추를 넣어 차를 만든 다음 진하지 않게 약간 설탕을 넣어 복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.

    호흡기계통

    감기: 무우를 다진 다음 물엿이나 꿀을 섞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잘 저어가지고 마신다.

    독감: 무우를 강판에 갈아 진하게 생즙을 내여 꿀을 한숟가락쯤 타서 공복에 수시로 복용하면 좋은 효과 있다.

    페염: 무우와 연근을 생즙 내여 한번에 한컵가량씩(하루 3번) 3~4일동안 복용.

    천식: 무우를 잘게 썰어 사기그릇에 넣고 물엿 반홉을 넣은다음 뚜껑을 덮어둔다. 하루밤을 지낸후에 고인 맑은 물을 마신다.

    기관지염: 큰배 하나를 껍질이 누렇게 탈 정도로 불에 구운후 그 배를 짜르륵 짜서 즙을 내여 하루에 3번씩 나누어 식후에 먹으면 좋다.

    페결핵: 샐러리즙 110g, 당근즙 200g, 시금치즙 80g, 민들레즙 100g을 섞어서 하루 3번 나누어 식후에 복용함.

    구강치아계통

    황색이: 옥시풀(물약)을 솜에 적셔 몇차례만 닦으면 산뜻하게 깨끗해진다.

    치통: 명아주(藜)를 생즙을 내여 탈지면에 흠벅 적셔 환부에 물고있으면 아픈것이 씻은듯이 낫는다.

    입안이 헐었을 때: 수박즙을 내여 한사발 마시념 시원하게 낫는다.

    터진 입술: 입술에 2~3회 정도 꿀을 발라주면 직효가 있다.

    비뇨기계통

    당뇨병: 다시마, 팥, 호박을 함께 물을 붓고 삶은후 조금 맵게 해서 자주 먹으면 좋다.

    신장염: 익힌 호박, 삶은 팥, 호박과 미꾸라지 고은것, 수박을 수시로 먹으면 소변이 시원스럽고 좋은 효과가 있다.
    2017/5/18 15:38:49
举报不良信息

 

 大  小